'ev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scuit  (0) 2010.05.20
QOOK 북카페 mission #3  (0) 2010.05.17
네이버 체크 아웃  (0) 2009.12.31
인터파크  (0) 2009.11.18
클럽싸이언  (0) 2009.11.16
요 몇주간 애플과 어도비 이슈를 지켜보면서 드는 생각을 내가 쓰는 것보다 더 잘 정리해 준 글이 있어 감상을
덧붙이고자 한다.

내 주된 관심사는 애플과 어도비 사이의 냉기류에도 있지만, 일부 이 사안을 바라보는 사람들에게도 있다.

찬반 양론이 팽팽한 가운데 있고, 때로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들도 있어 말하기가 조심스럽긴 하지만,
사견이니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아 설을 풀어 본다.

(저는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제가 아래에서 풀어볼 찬성측의 주된 이유로 찬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찬성의 입장에 대해 반대하시는 분들에게는 제 글이 불쾌한 글이 될 수도 있으므로 스킵을 권합니다.)

찬반 양론에 서 있는 사람들은 각각 자신의 이익에 찬동하는 방향에 서 있다.
뭐 당연한 얘기이긴 하겠다. 내게 이익이 되지 않는 주장을 할 이유따위 없잖겠는가?
그런데, 조금 더 바라보아야 할 것이 다음 분류이다.

대체로 소비자(애플의 소비자이든 기존 데스크탑 환경의 플래쉬 소비자이든)의 입장에 가까운 사람들은 애플의
결정에 찬동하고, 개발자(애플이든 플래쉬이든, 심지어 전혀 관련 없을 것 같이 보이는 안드로이드 개발자들도!)의
입장에 가까운 사람들은 애플의 이 같은 결정에 반발한다는 것이다.

물론 내 주변의 협소한 네트워크에서 관찰한 결과이기 때문에 분석이 틀릴 가능성이 농후한 점 인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관찰의 결과를 쉽게 내버리지 못하고 내 주장으로 갈음하는 점은 각 찬반의 결과로 인한 영향이 소비자와
개발자에게 서로 다르다는 내 추측 때문이다.

애플이 플래쉬를 거부하는데 찬동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소비자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했다. 찬성하는 대부분의
이유가

1. 플래쉬는 품질 편차가 너무 커서 안정적이지 못 하다. -> 사용자의 관점
2. 플래쉬는 리소스 잠식이 심해 배터리 소모가 빠를 것이다. -> 사용자의 관점
3. 플래쉬는 터치 기반의 UX에 최적화되지 않았다. -> 사용자의 관점

위와 같다는 것이다. 이 중 몇가지는 애플 또는 jobs가 주장하는 바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반해 같은 이슈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의 입장은

a. 플래쉬도 아이폰 또는 모바일 환경에 맞게 진화할 수 있다.
b. 플래쉬든 앱이든 사용자가 선택가능하도록 오픈해 두어야 한다.

첫번째, 모바일 환경에 맞게 진화할 수 있다는 발상은 그 자체로 아직까지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쓸 이유가 없다는 말이
된다. 스마트폰이 아직까지도 얼리 어댑터만의 전유물이라면 모르겠으되 이미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는
소비자가 불편함을 감수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두번째, 사용자의 선택에 맞겨 두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소비자는 다음과 같이 생각할 것이다.
소비자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없다면, 기존의 것에 대한 호감도가 새로운 것에 대한 것보다 높은 편이라고 본다.
적어도 기존의 것이 심각한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잘 견디며 쓴다는
것이다. 있던 것이 없어졌으면 모르겠으되, 애초에 제공하지 않던 것들을 계속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여 특별히 불만을
가지는 사용자는 별로 없다는 얘기다.

사실, 위의 두가지 이유는 개발자의 입장에서 견지하는 반대의 이유는 아닐 것이다. 나는 개발자가 애플의 정책에 대해
반감을 가지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c. '현업에 종사하는 플래쉬 개발자나 자바 또는 다른 언어로 앱스토어에 진입하려던 개발자에게 진입 장벽이 생겼기
때문이다' 라고...

숱하게 돌을 던지는 소리가 들린다마는 얘기를 꺼낸 김에 마져 끝내야 겠다.
결국 사용자 입장에서 플래쉬를 쓰건 쓰지 않건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플래쉬를 이용하여
앱을 제작하도록 도우는 CA (computer aided) 툴(?)을 어도비가 만들었고, 그걸 플래쉬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면
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플래쉬로 개발된 프로그램을을 포함하여 그 외에 다른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들을
쉽게 포팅하여 앱으로 제작할 계획을 세우고 있던 수많은 개발자에게 애플이 뒤통수를 쳤기 때문에 그것도 아주 세게
쳤기 때문에 격렬한 반대를 쏟아 놓는 것 아니냐고..

이렇게 분석하는 본인도 개발을 하고 있는 사람이고, 언젠가 모바일 앱을 개발하며 먹고 살아야 할지도 모르는데,
왜 제 살을 깍아 먹는지 의아해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개발자이면서도 애플의 입장을 찬성하는
쪽이다. 왜냐하면, CA 툴들로 인해 대다수 개발자들이 개발을 쉽게 하게 되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더 신경을
쓰게 되었던 점은 긍적적이지만, 반면 개발 시장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결과가 발생했고 그에 따라 시장에의 공급이
과잉하여 개발자에 대한 대우가 공급에 반비례하여 낮아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의사들과 비교해 보면 제일 쉬울 꺼 같은데, 의사는 외과/내과를 동시에 마스터하기가 쉽지 않지만 아니 거의 없지만,
IT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쪽에서는 어떤 분야든 어떤 언어든 쉽게 습득하고 시장에 진입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경계의 파괴가 우리 스스로 우리의 가격을/ 대우를/ 지위를/ 낮추는 데 일조했다고 본다.
물론, 의사의 경우 환자의 생명을 담보하는 그래서 전문성이 어느 곳보다 우선시되어야 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강변할 수 있다.
그런데 소프트웨어는 생명을 담보하지는 않더라도 진짜 전문성을 우선시하면 안되는 것일까?
항상 납기에 시달리고, 요구 사항 변경에 허덕이고, 개발사가 개발사를 부려 먹고(턴 키 방식) 그래야 하는 것일까?
의사와 같이 전문성을 인정하고 믿고 환자를 맡기듯 맡길 수는 없는 것일까?

그 첫번째 시도로 스스로 경계를 허물고 경쟁에 내 몰리는 CA 툴과 같은 전문성을 향상시키지 못 하는 환경을 고치는
것이 되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에 애플의 의도와는 전혀 상관 없이 애플의 결정에 찬성하는 것이다.

어설픈 논리로 찬성의 변을 밝혔지만, 내 의견을 차치하고라도
결국 애플이든 어도비이든 찬성의 소비자이든 반대의 개발자(라고 글쓴이 본인만 생각할지도 모르는)이든 결국은
모두 자신의 이익에 따라 찬반의 주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악의 개념은 여기에 적용하기 쉽지 않다. 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인 생각.. 답글은 사양합니다. 상처받기 싫어요 ㅎㅎ
203766843h.JPG

이미지출처 : book.interpark.com




(이 글을 동호회 게시판 LR과 qookbookcafe책소개 게시판에 동시 게재하였습니다.)

ebook 으로 읽고 있는 책은 아닙니다만, 한번 소개해 보고 싶은 책이라서 글을 올립니다.

이 책은 팜파스라는 출판사에서 나온 슬 럼프 심리학이라는 책입니다.

심리학 박사인 한기연 저자가 슬럼프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답을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서술한 책입니다.

만사가 귀찮고 모든 일이 나에게 집중되어 힘들다고 느낄 때,
모든 사람이 나를 하찮게 대하는 것 같고, 나 자신이 한없이 초라해 짐을 느낄 때,
일은 해도해도 줄지 않고 책임감과 불안감이 비례해서 커져 갈 때,
가장 중요한 일과 사랑에 흥미를 잃고 어두움에 사로잡혀 있다고 느낄 때,

저자는 이러한 상태를 슬럼프로 규정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사건 by 사건으로 문제의 특수한 상황을 분석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저자가 임상으로 상담했던 여러 사례를 들어
일반적으로 슬럼프에 빠지게 되는 사람들이 겪는 감정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에게도
존재할 지 모르는 슬럼프의 원인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특히나 책을 읽으면서 공감하였던 점은 내 안의 슬럼프라는 사건을 어떻게든  피해가려는 나의 마음을
상담자이자 치료자인 저자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고, 피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기 보다는 그 사건에서 나를 떼어 놓고
관찰자의 입장에서 보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서 내 안의 슬럼프인 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관찰하면서
저자 뿐 아니라 나 스스로가 내 슬럼프의 치료자가 되도록 도운다는 점입니다.

지 치고 반복되는 일상과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뭔가 무기력해지고, 귀찮아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면
적극적으로 자신의 치료자가 되어서 깊고 깊은 슬럼프를 잘 넘어가는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더불어 슬럼프를 겪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화이팅을 불어 넣어줍시다.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C코드 최적화  (0) 2010.08.18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의 1% 비밀  (0) 2010.05.18
일본 전산과 미라이 공업의 감성경영  (0) 2010.01.04
겅호  (0) 2009.12.10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0) 2009.12.09
윤석찬(@channyun)님이 소개하신
 Is Steve Jobs Ignoring History, Or Trying To Rewrite It? 라는 글의 번역본

을 보면서 드는 생각이다.

"Mac 보다는 좀 더 긴 꿈을 꾸게 될 것 같다."

iPhone은 현재 그 자체로 혁신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에게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하지만, 독자적으로 주도하는 혁신은 결국 한계에 다다르게 마련일 것이다. 그 순간이 이미 PC 영역에서 애플이 경험했던 '메이져에서 마이너로의 추락'의 순간이 될지도 모른다.

결국 혁신의 핵심은 개방 -> 모방 -> 창조 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라는데, 나는 100% 공감한다.

하지만, Mac과 비교해서 헤게모니의 중심은 iPhone이 좀 더 끌고 갈 것이라는 데에도 큰 이견이 없다. 과거 PC 분야에서 Apple은 혁신적인 제품(MAC)을 내 놓았고, IBM 호환 PC에 의해 주도적인 위치에서 내려와 소수의 매니아와 전문적인 영역에서만 사용되어 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당시, PC의 사용자는 현재의 휴대폰 사용자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소수였고 그 이유 때문에 쉽게 메이져의 자리를 내 주었다고 본다.

아무리 생각해도 아이폰/아이패드는 소비의 도구이지, 창조의 도구는 아니다.

http://blog.creation.net/trackback/448
google night에서 code review system인 mondrian을 보고, code review tool의 도입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던 중, "못 살겠다 바꿔보자" 는 심정으로 스스로 찾아 나섰다.

우선 우리 project가 subversion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image0







검색하였더니,

image1






















와 같이 관련 사이트가 주욱 나온다.

대부분의 내용에서 검색되는 code review tool로


가 검색된다.

code review tool 각각의 설명을 곁들인

image2













사이트도 검색되어, 읽어보니 간단한 설명이 꽤 도움이 된다.









그 외에, programmer 전용 지식인 사이트인
stackoverflow
stackoverflow.com
을 알게 되었고, 이 사이트에서
웹기반 code review 사이트(?)인 refactormycode.com 등을 소개하였다.
eclipse 기반 jupiter 라는 code review 모듈도 소개되었다.

다음과 같은 메일링 리스트도 검색되었는데, 우리 상황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 참고가 되었다.
(코드 리뷰 전 commit 금지를 강제하고 싶은 환경, etc.)

이 중,

rietvelt는 mondrian을 만든 귀도가 apache2 라이센스로 내 놓은 것인데, subversion만 지원하는 것과 google app engine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local install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예상

code striker는 지원하는 VCS도 풍부하고 개발기간도 꽤 길어 안정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다만 코드가 cgi/perl이라고 하여 local install에는 좀 무겁지 않을까 생각

review board는 vmware를 개발하면서 사용된 code review system인데, rietvelt과 마찬가지로 django와 python을 이용하였으며, local install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따라서, evaluation 순서는 review board -> code striker -> rietvelt 가 되지 싶다.

상세 리뷰는 써 보면서 올릴 예정..


요즘 통신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개인적으로 변경하게 되는 통신 서비스가 많다.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변경이라던가, 휴대폰 통신사 변경 등..
그에 따라서 통신사와의 마찰이 많아지는데, 이건 내가 원래 까칠한 경향이 있기도 하지만 통신사 측의 무성의한 서비스 태도도 한 몫을 하고 있다.

이번에는 통합 LGT 얘기다.

최근 인터넷을 브로드밴드에서 XPEED로 변경했다. 근 5-6년을 사용하던 하나로 (신비로 -> 하나로 -> 브로드밴드) 에서 XPEED 변경까지는 일사천리..

문제는 결제 계좌 변경을 위해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을 하면서 부터이다.

근래 개인 정보의 무분별한 획득과 관리 실패로 인해 개인 사용자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넘어가면서 정부는 i-pin이라는 새로운 인증 방식을 도입했다. (참조 : 아이핀2.0이란?)

위의 참조 사이트에 따르면 이 방식은 "대면확인이 불가능한 인터넷상에서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하여, 본인임을 확인받을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번호가 아이핀입니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분명히 본인 확인도 가능하고 주민등록 번호를 대신한다고 한다.

그런데, 통합 LGT에서는 이 방식으로 가입한 인터넷 사이트 사용자에게 실제 서비스 가입자와의 본인 인증이 어렵다며 서비스를 거부하고 있다. (여기서 거부에 대한 논쟁이 있을 수도 잇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가입은 되지만 할 수 있는 게 없다. ㅡ.ㅡ)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 결과, 사이트 가입시 주민 번호로 본인 인증이 되어야만 실 서비스 사용자와 1:1 매칭이 가능하기 때문에 i-pin으로 인증한 건은 가입을 탈회하고 주민 번호로 재가입을 요구하고 있다.

... 재가입 블라블라 ...

이번에는 통합 LGT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이트에 가입 신청을 해야 한다고 한다. 즉, 인터넷 전화 상품인 mylg070의 가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www.mylg070.com에 위와 동일한 방식 (즉, i-pin을 통한 인증 말고 주민 번호를 통한 본인 인증 후 가입 방식) 으로 가입된 사용자에게 mylg070의 회선 가입 정보를 알려주겠다는 것이다.

뷁!!!

이쯤되면 욕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통합 LGT가 승인되고 공식적으로 고지된지 어언 1분기가 지났는데, 아직 전산/조직/업무 상으로는 다른회사기 때문에 통합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문제는 다음 2가지 이다.

1. i-pin을 통한 본인 인증 무용화..
2. 통합 LGT의 서비스를 각각 요청

LGT가 스마트폰 전성 시대에 여러 모로 어려움이 많지 싶다. 나 조차도 스마트폰 사용을 위해 약정이 남아 있던 LGT의 휴대폰을 해지하고 KT로 넘어왔다. 그런데, 노심초사 고객의 숨소리도 살펴 들어야 하는 LGT가 아직까지 통합 작업에 지진하고, i-pin과 호환조차 안된다면 이건 좀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언제까지 3등만 하고 있을텐가, 통합 LGT!!!
어제 질문 사항에 대한 답변이 도착했다.
물론 내가 먼저 전화를 걸어 이메일 내용을 재탕/삼탕한 후의 결과다.
소요된 시간은 40분.. 아직도 결과를 못 받은 내용도 있다.

먼저 알려진 사실부터 얘기하면.

1-1. 요금할인이 일할 계산된 부분에 따라서 단말기 할부금이 추가 청구되었는데, 25개월째에 해결해 준단다.
내가 증빙 서류가 있으면 보내달라고 했더니 그런 건 없고 믿어달라신다. 요금부분이나 통화가능시간등이 일할 계산되니까 할부금도 일할계산해 달라는 요구는 묵살되었다. ㅠㅠ

1-2. 국내 통화료 추가 발생 부분 역시 무료 통화 부분이 일할계산되어 축소되면서 (200분에서 50분 정도) 부득이 발생한 부분이라 어쩔 수 없단다. 무료통화 분수가 일할 계산되었다면 고지할 의무가 있다는 주장에 대리점이 알려주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대리점과 얘기하라는 원론적인 답변이 돌아왔다. 내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느냐는 물음에는 홈페이지에서 가능했을 꺼란다. (2번 답변 참고)

1-3. 로밍 부분에 대한 요금 설명은 아직 부과되지 않은 부분이라서 어떤 항목이 무얼 의미하는지 모르겠단다. 분명 국제 통화료와 국제 문자 사용료라는 항목으로 금액을 징수하고 있는데, 또 로밍이용료라는 항목을 추가했다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에 아직까지 요금이 부과된 것이 아니라서 어떤 용도인지 알 수 없다는 황당한 답변을 받았다.

2. 홈페이지에서 전달 통화량이나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없는 이유는.. 통합 KT의 KTF와 KT 부분중 KT에서 가입 신청이 되었기 때문이란다. 세상에~!! 시스템 통합도 제대로 안하고 통합부터 해 버린 것인가? 그로 인한 고객 불편은 온전히 고객과 상담 센터 말단직원들한테 떠 넘기고? 말도 안되는 소리다. 또한 KTF와 KT를 통해 가입한 사용자들에 대한 내부 차별이다.

3. 쇼킹 안심 서비스 부분은 날짜상 딱/!!!!!!!! 30일까지만 가입 가능하단다. 그래서 1월 21일까지 가입하지 않았으니 대략 무효~!!!! 라는... 지들 돈 주겠다는데 왜 마다하는 건지 원...

4. 상담 서비스 불만 부분은 뭐 얘기해도 위에 안 올라가겠지만. 전달은 해 두었다.


다시 연락을 준다고 하는데, 아직도 갈 길 멀었다.... 휴~

+ Recent posts